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우리 《아이들이 모기나 벌레물린 상처대처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들 가운데 유난히 모기나 벌레에 잘 물리는 아이가 있습니다. 벌레에 물려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혹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특이한 벌레에 물렸을 때는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대개는 모기에 물리는 경우가 《물린곳을 긁다보면 염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모기나 벌레에 물려도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안 생기면 약간 가렵다가 괜찮아집니다. 그러나 물린 곳이 가려워서 긁다보면 손톱에 있던 균 때문에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여름에는 화농이 생겨 더 심하게 붓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손톱을 짧게 깍아주고 물린 부위와 손은 깨끗하게 씻겨야 합니다. 모기 물린 자리에 염증이 생겼다고 ..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대동맥궁 증후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Ⅰ. 개요 대동맥궁 증후군(다까야수 동맥염)은 만성 염증질환으로 주로 대동맥과 대동맥에서 분비되어 나오는 한 개 이상의 큰 동맥들에 진행성 염증이 생깁니다. 1908년 일본인 안과 의사 다까야수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어 "다까야수 동맥염"으로도 불리고 있는 이 질환은 쇄골하동맥, 신장동맥, 경동맥, 상행 대동맥, 폐동맥이 주로 영향을 받습니다. 여러 개의 동맥에 진행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다발동맥염이라 합니다. 다발동맥염의 한 현상으로 팔 다리와 장기로 가는 혈류량의 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염증은 머리와 팔의 동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것은 신체의 주요 맥박의 손실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대동맥..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우리 아이가 상처가 났을 때 처치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처가 나면 집에서 치료하기보다는 의사의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이 흉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찢어진 상처는 4시간 이내에 치료를 해야 감염을 줄일수 있고 꿰매야 하는 상처는 늦어도 12시간 안에는 꿰매야 합니다. 지혈을 위해서 상처 부위에 이것저것 바르는 분들이 많은데 그러면 도리어 상처 회복에 방해가 되는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꿰매야 할 정도의 상처를 알코올로 소독하고 병원에 가서는 안됩니다. 알코올로 소독한 부위는 꿰맬 경우 잘 아물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벌레가 물린 곳도 일단 붉게 변하면서 염증이 생기는 것 같으면 병원진료를 받고 치료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날카로운 것에 찔..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비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 점막에 만성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만성비염 비염에 걸리면 콧물이 많이 나오고 코 점막이 붓습니다. 비염이란 코안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비염은 비염 단독으로 오는 경우도 물론 있지만 대부분 다른 호흡기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질활의 한 증상으로 생깁니다. 비염에 걸리면 콧물이 많이 나오는데다 코 점막이 붓고 막혀서 아기들이 많이 답답해 하고 힘들어 합니다. 코는 알레르기성 비염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성 감기 등에 의해서도 막히는데 이것을 엄마들이 구별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아기가 코막힘으로 힘들어 하면 소아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호흡기 질환에 한번 걸리면 오래 가기 일쑤입니다. 다 느끼시는 일이라 생각..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치주질환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치아의 건강은 오복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은 겪어본 사람만이 공감할 수 있는 말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문제가 없을 때나 아프지 않을 때 구강 건강에 관심을 갖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치주질환, 잇몸병은 만성 질환이며 소리 없이 진행되는 질병이므로 증상이 나타난 후 치과를 찾았을 때 발치를 하자는, 즉 치아의 사망선고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주질환은 모든 치과질환 중 1위를 차지하는 유병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2007년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1차년도 구강검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치주질환 유병률은 73.9%였으며, 30대 이상이 77.1%였습니다. 연령별 치주질환 유병..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고환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환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고환에 염증이 생겨서 고환이 있는 부위가 빨갛게 부어서 아프고 열이 나는데, 덜덜 떨릴 정도로 한기가 드는 일이 많습니다. 고환염이 발생하면 통증이 매우 심하여 환자가 어찌할 줄 모르고 어떤 자세를 취해도 편하지 않아 안절부절 못 경우가 많습니다. 1. 종류 증상 발현에 따라 급성과 만성 고환염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급성 고환염 급성 고환염은 대부분 세균 감염에 의합니다. 흔한 것으로는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연쇄상 구균이 많습니다. 신체의 다른 감염 질환에 이어 2차적으로 올 수도 있으며, 혈류를 통하여 감염, 정관을 통한 감염 등의 경로가 있습..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코피가 자주나는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출혈은 실생활에서 비교적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코피’라고 표현되는 코질환의 하나입니다. 일반인들은 흔히 과로의 상징으로 알고 있기도 하고 과도하게 코를 파면서 코 점막에 상처가 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비교적 잘 지혈되나 간혹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입원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출혈은 크게 비강의 전방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전방 비출혈과 비강의 후방에서 출혈이 생기는 후방 비출혈로 나뉩니다. 전방 비출혈의 경우 지혈이 어렵지는 않으나 소량의 출혈이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 대게 어린이나 젊은 성인들에게 많습니다. 후방 비출혈의 경우는 주로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등 다른..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백내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내장이란 눈 속의 수정체(렌즈)가 어떤 원인에 의해 뿌옇게 혼탁해져서 시력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백내장은 유전적인 원인이나 임신초기의 풍진 감염 등에 의해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노화나 외상, 전신질환, 눈 속 염증, 독소 등에 의해 발생하는 후천백내장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노화의 일부로 발생하는 노인성 백내장은 60대의 절반 이상, 75세 이상 노인의 대부분이 어느 정도씩은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백내장은 양쪽 눈에 다 생길 수 있지만 한쪽이 더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의 눈은 카메라와 매우 유사한데, 외부에서 들어온 빛은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를 통과하여 ..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치주염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0세 이전에는 충치가 자주 발생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치주 질환이 주로 발생하기 시작해 30대 중·후반부터는 거의 모든사람들에게 만성적인 치주염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치주염은 잇몸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치주염이 심해지면 이가 흔들리기 시작하고 결국 빼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대부분의 질환이 그러하듯이 잇몸 질환 역시 치료보다 예방이훨씬 효과적입니다. 잇몸이 아파서 치과를 찾게 되는 경우는 이미 잇몸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이므로 치료가 어렵고또 치료 후에도 잇몸이 정상을 되찾기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기 때문이죠. 따라서 치태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고 부담 없는 방법은 올바른양치질임을 다시 한번 명심해야 ..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후두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후두는 인두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호흡기관 으로서 후두는 코와 입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습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기 역할을 합니다. 만약 후두가 좁아지면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호흡란이 오고 심하면 질식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후두염이란 염증에 의해 후두가 빨갛게 부어오르고 열이 나며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후두의 염증은 병변이 단순히 후두에만 국한되기도 하지만, 인접한 주변의 기관이나 기관지에도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병변의 범위에 따라 후두염 또는 후두기관염, 후두 기관 기관지염으로도 불리며 이들을 총칭하여 크루프라고 합니다. 1. 원인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균으로 파라인플루엔자 바..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술적 치료
- #통증
- #신청방법
- #신체검사
- #약물
- #약물치료
- #출혈
- #감염
- #요리순서
- #원인
- #치료
- #부작용
- #선정기준
- #질환
- #치료방법
- #증상
- #수술
- #염증
- #지원대상
- #
- #예방
- #수술요법
- #호흡곤란
- #스테로이드
- #약물요법
- #진단
- #식이요법
- #합병증
- #재료
- #혈액검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