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세포검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학적인 새로운 기술이 의학 분야에 도입되는 과정에는 오랜 시간과 여러 번의 관찰 결과를 필요로 합니다. 이런 조건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적 및 정책적인 조건까지 과학적 사실의 인정과 새로운 방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세포병리학의 발달사도 예외 없이 이러한 조건들에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세포병리학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얻은 세포를 검사하여 병의 원인이나 성상을 밝혀내는 진단적인 분야를 말합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세포학적인 방법은 연구자들이 소변, 객담, 삼출물에서 비정상적인 세포를 찾아내는 것이었습니다.

19세기 말 경에 이르러 세포학적 검사물의 채취, 표본의 고정 및 염색 기술 등의 발달과 더불어 암의 세포학적 진단은 많은 병리의사의 지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조직 박절기의 발명으로 세포의 발전이 약간 주춤했다가 George N. Papanicolaou의 획기적인 기여로 탈락 세포학의 부흥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탈락세포학이 암 진단의 한 방법으로 자리 매김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Papanicolaou 의 연구 결과가 결정적이었습니다.

1921년부터 1943년까지 오랜 기간 동안 자궁경부 탈락 세포를 연구 하였습니다.

1942년에는 훌륭한 염색법을 접목 하였습니다.

1943년에 "Diagnosis of Uterine Cancer by the Vaginal Smear" 란 단행본을 출판함으로써 탈락세포학의 새 장을 열었습니다.
세포병리학의 다른 한 분야인 세침 흡인 세포학은 유럽과 미국에서 1930년대 거의 동시에 시작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Martin 과 Ellis 등이 뉴욕의 Memorial Sloan Keterring 병원에서 시작하여 연구 업적을 발표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연구업적은 약 30년 동안 의학계로부터 큰 관심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영국에서 Patrick과 Dudgeon 등에 의해 시작된 이 기법은 1960년 유럽 스칸디나비아 국가를 중심으로 혈액학 전공을 한 의사들을 통해 현격한 발전을 이루어 스웨덴의 Karolinska 병원에서 꽃을 피우게 되었습니다.

세포검사는 조직검사와 더불어 병리검사의 한 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 대 후반부터 복수와 자궁경부 도말 검체의 세포학적 검사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1960년 대 국립의료원에서 덴마크 의사에 의해 요 세포 검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80년대 들어 WHO 의 후원으로 국립의료원에서 세포병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시작되었습니다.

현재는 병리의사들의 모임인 대한병리학회의 자학회인 대한세포병리학회가 1983년부터 병리의사에 대한 세포병리교육을 시행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자궁암세포검사의 일차 검경을 맡은 세포병리사의 경우 1981년부터 세포병리사를 양성하였습니다.

특히 2002년도부터는 국립암센터내에 세포병리 상설 교육장을 마련하였습니다. 국립암센터와 대한세포병리학회가 공동주관으로 세포병리사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여 세포병리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되었습니다. 대한세포병리학회 주관으로 병리의사와 세포병리사를 대상으로 한 연속적인 교육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 탈락 세포 검사 (exfoliative cytology)
1) 자궁경부 세포검사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오는 세포들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기관의 암 진단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장기는 자궁경부암 진단을 위한 세포 검사입니다.

흔히 George N. Papanicolaou 의 이름을 따서 pap smear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특수하게 제작된 솔 같은 것을 이용하여 자궁 경부 부위세포를 채취합니다. 95% 알코올에 고정 후 염색을 하여 이상한 세포가 있는지 여부를 관찰하여 진단합니다.

이 검사는 자궁 경부 암 뿐만 아니라 자궁 내막암을 진단할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세포검사를 통하여 선진국에서는 자궁경부암 발생율이 현저하게 떨어졌습니다.

우리나라의 자궁경부암 발생율도1990년대 여성암발생율 1위였던 것이 2005년 통계상 7위로 떨어질 정도로 현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1) 액상 세포검사

1990년대 후반 들어 세포검사 채취 시 발생할 수 있는 검사 오류를 줄이고 좀 더 나은 세포표본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를 액상세포검사라 부릅니다.

국내에도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여 많은 병원 병리과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방법>

임상의사가 솔(brush)로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합니다. 예전에는 슬라이드에 도말 후 솔을 폐기하였습니다.

이 검사법은 특수 보존액이 들어있는 검체 통에 솔 부분을 담구어 병리과로 보냅니다. 그러므로 세포의 소실에 대한 부분을 줄이고 병리과에서 실제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면 기존 방법보다 세포의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암 진단율이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아래사진에 고식적 방법과 액상세포법 사진을 비교하였는데 액상세포법의 배경이 깨끗하고 세포관찰이 용이함을 알 수 있습니다.

2) 객담 세포 검사

전통적으로 폐 같은 호흡기 계통의 세포 검사에는 객담세포 검사가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습니다. 암이 의심되는 환자뿐만 아니라 검진을 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객담 검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자연적으로 떨어지는 세포 뿐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기구들을 사용하여 세포를 얻습니다. 예를 들면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할 때 기관지 솔질이나 세척 검사를 이용합니다.

3) 요 세포 검사

방광암이 의심되거나 검진을 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뇨기계 암 진단을 위하여 요 세포검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방광내시경을 관찰할 때 병변이 의심되는 부위를 세척하여 세포를 얻어 진단에 도움을 얻기도 합니다.

4) 체액 세포검사

복수 및 흉수 등 체강에 물이 찼을 경우 이 체액을 빼어내어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진단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5) 뇌척수액 세포 검사

백혈병이나 전이성 암종이 뇌 척수액에 전이를 할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때 뇌척수액의 세포 검사를 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세침흡인세포검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

일반적으로, 만져지는 병변이면 모두 세침흡인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또 초음파, 단층 촬영기 등을 이용해 심부에 있는 병소도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세침흡인 검사 분야는 다양한 부위 결절을 선별하고 진단합니다. 지금 현재까지는 탁월한 방법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FNA 방법의 도입으로 갑상선 양성 결절의 경우 불필요한 수술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검사 비용면 에서도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 검사법은 누가 시행하고 판독하느냐에 따라 진단율의 차이가 커서 검사를 제대로 하고 정확한 판독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져지는 결절에 대한 FNA는 검사방법 자체가 어려운 것은 없어 누가 시행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검사방법에 훈련이 되어있는 병리의사, 방사선과 의사 및 임상 의사 중 누구라도 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만져지지 않는 결절인 경우는 대개 초음파를 비롯한 영상의학의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해서 기본적인 교육을 철저히 받는 것이 우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들 검사의 대상이 되는 장기는 갑상선이 현재 가장 많습니다. 그 다음으로 유방, 림프절, 타액선 및 기타 연부 조직입니다. 또한 영상의학 기계들의 발달로 폐 등 심부 장기들도 검사의 대상이 됩니다.
최근에는 위내시경, 기관지 내시경을 할 때 초음파 기기의 도움을 받아 이전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췌장 및 심부 쪽에 있는 림프절 등에 대한 검사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3. 새로운 보조적 요법 (New ancillary technique)

자궁 경부암 진단에는 최근에 도입된 컴퓨터를 이용한 선별검사 기기와 액상세포 검사 등이 진단율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탈락 세포나 세침흡인 세포를 이용한 다양한 분자 병리 기법이 접목되고 있습니다. 자궁 경부암의 HPV 검사, 결핵환자의 Tb-PCR, 갑상선암의 b-raf 변이 검사 같은 것이 병리과에서 흔히 시행하는 검사 항목들입니다.

이외 에도 다양한 새로운 검사들이 진단의 향상을 위해 시도되고 있습니다.
1 .세포병리학의 임상 적용

1) 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

증상이 없는 암의 조기 선별검사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세포검사는 암의 예방 영역에서 많은 기여를 해 오고 있습니다. 자궁 경부암을 조기 진단 하기 위한 pap smear 가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자궁 경부암의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객담 검사를 통한 폐암의 진단, 요 검사를 통한 방광암 진단 등이 다른 예들입니다.

2) 암의 진단

증상이 있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포 검사는 다양합니다. 탈락세포 검사 보다는 병변을 직접적으로 찔러서 검사하는 FNA 가 더 많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유방암, 갑상선암, 폐암 환자에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수술로 치료가 불가능한 췌장암 등의 진단에 대단히 유용합니다.
3) 환자의 추적 관찰

암 환자에 대한 진단을 하고 치료를 끝낸 뒤 대개 5년간은 추적 관찰을 하게 됩니다.

영상의학적 방법 이외에 세포 검사를 시행하기도 하며, 예를 들면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pap smear를 시행합니다.

방광암 환자에서 요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또한 유방암을 비롯한 다른 암에서 재발이나 전이가 의심되는 결절이 만져지거나 영상의학소견이 보일 경우 이에 대한 FNA를 시행하여 확진하기도 합니다.

 

2. 세포병리 검사의 장점과 한계

환자의 몸에 직접 칼로 절개를 해서 조직을 얻는 생검에 비해서 세포 검사는 환자에게 주는 고통이 적습니다.
마취가 불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검사가 간단합니다.

생검에 비해 표본 채취 면적이 넓어 광범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생검으로 채취하기 어려운 부위의 종양에서 검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조직학적 처리 과정은 복잡하여 24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비해 한 시간 이내의 신속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검사 방법의 용이성과 접근성과 더불어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검사 방법입니다. 

다만 병리검사는 검사자체가 판독자의 주관적 판단에 크게 의지합니다.
따라서 검사자의 자질관리는 검사의 정확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검사자의 자질 관리는 오랜 시간의 교육을 통한 전문가의 양성과 일단 양성된 전문가의 지속적인 업무능력 검증을 필요로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문의 제도 하에서 전공의 기간 중 세포병리 특히 자궁암세포검사의 교육을 받고 있는 전문의는 병리 전문의라고 얘기 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세포검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