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편도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서 반응을 하고, 주로 점막의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입니다. 이러한 편도는 출생 시 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면역학적으로 4-10세에 가장 활발하다가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합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편도는 구개편도로 입안을 보았을 때 목젖의 양쪽에 동그랗게 있는 구조입니다. 이 외에도 혀의 뒤 쪽으로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는 설편도가 있고, 목젖과 연구개의 뒤 쪽으로 콧구멍이 열리는 곳 주위로 인두편도, 혹은 아데노이드라 불리는 편도조직이 있으며, 귀와 연결되는 통로인 이관의 개구부 주위로 이관편도가 있습니다. 이들은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는 통로를 둥글..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왜소음경(소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아 비뇨기과 외래에는 음경크기가 작다고 걱정하며 내원하는 환아와 환아의 부모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왜소음경이라고 할 수 있는 환아는 그리 흔하지 않습니다. 1987년 1,07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평균 음경길이를 측정한 연구에서, 정상 신생아 중 최대 신장을 가진 신생아의 평균 음경 길이는 3.3cm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음경의 길이는 출생 후 4-5세까지 완만한 성장을 보이다가 그 후 정지기를 거쳐 사춘기의 시작인 10-11세부터 급격한 성장을 보여 14세군에서 평균 8.8cm 정도로 성장한다고 합니다. 왜소음경은 크기 이외의 형태학적인 이상소견 없이 비정상적으로 작은 음경을 말합니다. 왜소음경은 태생학적..
안녕하세요!! 주니입니다^^ 오늘은 치루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자어로 ‘치’(痔)라는 말은 ‘항문의 병’이라는 뜻이며 ‘루’(漏) 라는 말은 ‘새다, 틈이 나다’라는 뜻인데, 말 그대로 ‘치루’라는 말은 ‘항문 옆으로 샛길이 생기는 병’을 의미합니다. 항문직장농양이 피부 쪽으로 저절로 터져 나오거나 절개배농 후 염증이 시작된 항문샘과 통로가 생기면 치루가 발생하는데, 항문직장농양이 발생한 모든 환자가 치루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 환자의 약 70%, 절개배농을 실시한 환자의 약 25~50% 정도에서만 치루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절개배농 수술 후 치루 발생 가능성은 항문직장농양의 위치와 모양, 심한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되며, 치료를 잘 한다고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치..
- Total
- Today
- Yesterday
- #신청방법
- #치료방법
- #예방
- #감염
- #요리순서
- #혈액검사
- #호흡곤란
- #
- #부작용
- #약물
- #식이요법
- #약물요법
- #약물치료
- #신체검사
- #원인
- #진단
- #증상
- #수술
- #지원대상
- #출혈
- #재료
- #선정기준
- #수술요법
- #합병증
- #통증
- #염증
- #질환
- #치료
- #수술적 치료
- #스테로이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